걱정 많은 당신을 위한 멘탈 처방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04-11 12:25 조회19회 댓글0건본문
봄바람이 살랑 불면 근심 걱정 훌훌 털어버리나 했더니 봄 타는 건지 더 싱숭생숭하다. 부정적인 감정으로 인생을 소모하는 패턴에서 벗어나 내 삶의 주도권을 되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Solution
01 자발적으로 경로를 변경하자
어떤 사람들은 새로운 일을 시도하는 것에 특히 스트레스를 받는다. 자신만의 습관을 유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똑같은 것을 계속 반복하다 보면 변화하는 세상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하루쯤은 계획을 버리고 자발적으로 경로를 변경하는 것도 좋다. 이로 인해 얻게 되는 새로운 경험과 발견은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을 키우는 훌륭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일요일에는 아무 계획도 세우지 않고 그냥 흘러가는 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정해진 시간이 아니라 배가 고플 때 밥을 먹고 평소처럼 저녁 뉴스가 끝난 직후가 아니라 피곤할 때 잠자리에 든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말고 자신에게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일을 해보는 것이다.
02 불안의 에너지를 이용하라
어차피 인간은 인생의 불확실성을 막을 수 없다. 하지만 불확실성에 어떻게 대처할지는 결정할 수 있다. 불확실성에 좀 더 관대해지고 약간의 불안감을 지혜롭게 활용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불확실성은 우리를 자극하고 불안에 빠뜨릴 수 있지만 이로 인한 약간의 불안감은 오히려 많은 것을 움직이게 하는 원천이 될 수 있다. 불안감을 느낄 때 우리 뇌는 크고 명백한 두려움을 느낄 때와는 달리 신체를 문제 해결 모드로 전환해 다양한 힘을 동원한다. 생각하고 계획하고 바라던 것과 다르게 일이 전개될 때 더욱 주의를 기울이고 감각이 예민해진다. 일상에서 피하고 싶은 걸림돌도 다른 시각에서 보면 삶의 가장 강력한 엔진이다. 불확실한 상황 때문에 모든 것이 불안하다고 느껴질 때는 인생에서 이뤄낸 몇 가지 성공과 목표에 대해 생각하는 것도 방법이다. 운전면허를 딴 후 처음으로 혼자 고속도로를 운전했을 때, 새 직장에 처음 출근한 날, 버스 정류장에서 매력적인 사람에게 대뜸 말을 걸었던 순간 등. 처음에는 긴장감 때문에 불쾌했을 수도 있지만 곧 불안의 에너지가 이런 불쾌감을 긍정적으로 바꿔놓았을 것이다.
03 스스로에게 피드백을 주자
하루 동안 작은 모험을 했거나 계획을 변경해 새로운 것을 발견했다면 잠자리에 들기 전에 자신에게 간단한 피드백을 주는 것이 좋다. 나는 오늘 어떤 경험을 했는가? 내 삶의 지도에서 어떤 지역을 발견했는가? 어디서 새로운 영역을 발견했는가? 작은 위험을 감수함으로써 내가 얻은 것은 무엇인가? 앞으로 더 이상 두려워할 필요가 없는 것은 무엇인가? 더 확실한 방법은 배우자나 친구 등 소모임에서 이런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자신이 경험하고 발견한 내용을 공유하는 것이다. 비슷한 상황에서 다른 사람은 어떻게 극복했는지 들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런 경험은 불확실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안전 대책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상기시켜 자신감을 높인다. 그리고 하루를 마무리하는 저녁에 피드백을 주면 그날의 작은 성공이 기억에 깊이 새겨진다.
04 무균 구역을 설정하라
의식 속에 자리 잡은 부정적인 것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지만 많은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좋은 출발점이 되는 것은 뉴스 소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TV나 스마트폰을 통해 하루 뉴스 소비 시간은 최대 60분으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하루 중 조용한 시간대를 찾아 정보를 충분히 소비하고 다음 정보를 소비하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적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집에 무균 공간, 즉 부정적인 정보 바이러스의 감염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장소를 설정해야 한다. 거실 소파나 침실 등이 적합한데, 이 장소에서 편안함을 느끼며 시간을 보내면서 세상의 모든 정보와는 단절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정신적으로 전원을 끄고 생각을 놓아주기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접근 불가능한 영역을 설치하면 우리 뇌는 곧 이곳을 안전과 연관시키고 머릿속에 저장하면서 평안함을 느끼게 된다.
05 문제의 중심에서 ‘줌아웃’하라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려면 문제의 중심에서 ‘줌아웃’할 필요가 있다. 생각과 거리를 둘수록 좁은 시야에서는 보지 못했던 새로운 관점이 생기고 문제를 전체적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자신이 처한 상황을 너무 확대해서 생각하다 보면 작은 부분에만 집중하게 된다. 또 생각이 계속 맴돌 때는 자기 자신과 거리를 두는 게 좋다. 정신적으로 자신에게서 완전히 벗어나 멀리서 자신을 바라본다는 것은 1인칭 시점에서 3인칭 시점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관찰자가 되어 자신을 바라보면 1인칭 관점에는 없었던 효과적인 거리가 생겨난다. 직장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가 계획한 대로 풀리지 않고 실패로 끝났다고 가정해보자. 1인칭이라면 화가 나면서 실수한 부분을 찾고 다른 사람이나 자신을 탓하며 열패감에 빠질 것이다. 이때 한 발 뒤로 물러나 중립적으로 그 사실을 바라본다면 다른 관점을 통해 새로운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06 정신적 유연성을 장착하자
어떤 문제에 직면했을 때 낙관적이든 비관적이든 한쪽으로 치우치는 태도는 나쁜 조건이 될 수 있다. 둘 다 판단할 수 있는 시야를 좁히고 유연한 사고를 하지 못하게 만들며 나아가 어떤 방식으로든 행동을 회피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불확실한 상황에서 확고한 판단을 하는 것은 긴장감을 줄이는 효과는 있지만 동기를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그보다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상황이 다양하게 진전될 가능성이 있다는 생각으로 정신적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좋은 일을 희망하면서 나쁜 일이 일어날 가능성도 함께 예상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볼 때 훨씬 유익하다. 왜냐하면 불확실성의 에너지는 우리의 뇌를 효율적으로 도와주기 때문이다. 우리 몸을 깨어 있는 상태로 만들어 주의를 집중해 문제 해결 모드로 전환하고 능동적으로 행동하게 한다.(여성조선발췌)
Solution
01 자발적으로 경로를 변경하자
어떤 사람들은 새로운 일을 시도하는 것에 특히 스트레스를 받는다. 자신만의 습관을 유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똑같은 것을 계속 반복하다 보면 변화하는 세상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하루쯤은 계획을 버리고 자발적으로 경로를 변경하는 것도 좋다. 이로 인해 얻게 되는 새로운 경험과 발견은 불확실성에 대한 내성을 키우는 훌륭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일요일에는 아무 계획도 세우지 않고 그냥 흘러가는 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정해진 시간이 아니라 배가 고플 때 밥을 먹고 평소처럼 저녁 뉴스가 끝난 직후가 아니라 피곤할 때 잠자리에 든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말고 자신에게 즐거움을 가져다주는 일을 해보는 것이다.
02 불안의 에너지를 이용하라
어차피 인간은 인생의 불확실성을 막을 수 없다. 하지만 불확실성에 어떻게 대처할지는 결정할 수 있다. 불확실성에 좀 더 관대해지고 약간의 불안감을 지혜롭게 활용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불확실성은 우리를 자극하고 불안에 빠뜨릴 수 있지만 이로 인한 약간의 불안감은 오히려 많은 것을 움직이게 하는 원천이 될 수 있다. 불안감을 느낄 때 우리 뇌는 크고 명백한 두려움을 느낄 때와는 달리 신체를 문제 해결 모드로 전환해 다양한 힘을 동원한다. 생각하고 계획하고 바라던 것과 다르게 일이 전개될 때 더욱 주의를 기울이고 감각이 예민해진다. 일상에서 피하고 싶은 걸림돌도 다른 시각에서 보면 삶의 가장 강력한 엔진이다. 불확실한 상황 때문에 모든 것이 불안하다고 느껴질 때는 인생에서 이뤄낸 몇 가지 성공과 목표에 대해 생각하는 것도 방법이다. 운전면허를 딴 후 처음으로 혼자 고속도로를 운전했을 때, 새 직장에 처음 출근한 날, 버스 정류장에서 매력적인 사람에게 대뜸 말을 걸었던 순간 등. 처음에는 긴장감 때문에 불쾌했을 수도 있지만 곧 불안의 에너지가 이런 불쾌감을 긍정적으로 바꿔놓았을 것이다.
03 스스로에게 피드백을 주자
하루 동안 작은 모험을 했거나 계획을 변경해 새로운 것을 발견했다면 잠자리에 들기 전에 자신에게 간단한 피드백을 주는 것이 좋다. 나는 오늘 어떤 경험을 했는가? 내 삶의 지도에서 어떤 지역을 발견했는가? 어디서 새로운 영역을 발견했는가? 작은 위험을 감수함으로써 내가 얻은 것은 무엇인가? 앞으로 더 이상 두려워할 필요가 없는 것은 무엇인가? 더 확실한 방법은 배우자나 친구 등 소모임에서 이런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자신이 경험하고 발견한 내용을 공유하는 것이다. 비슷한 상황에서 다른 사람은 어떻게 극복했는지 들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런 경험은 불확실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안전 대책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상기시켜 자신감을 높인다. 그리고 하루를 마무리하는 저녁에 피드백을 주면 그날의 작은 성공이 기억에 깊이 새겨진다.
04 무균 구역을 설정하라
의식 속에 자리 잡은 부정적인 것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지만 많은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좋은 출발점이 되는 것은 뉴스 소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TV나 스마트폰을 통해 하루 뉴스 소비 시간은 최대 60분으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하루 중 조용한 시간대를 찾아 정보를 충분히 소비하고 다음 정보를 소비하기까지 어느 정도의 시간적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집에 무균 공간, 즉 부정적인 정보 바이러스의 감염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장소를 설정해야 한다. 거실 소파나 침실 등이 적합한데, 이 장소에서 편안함을 느끼며 시간을 보내면서 세상의 모든 정보와는 단절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정신적으로 전원을 끄고 생각을 놓아주기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접근 불가능한 영역을 설치하면 우리 뇌는 곧 이곳을 안전과 연관시키고 머릿속에 저장하면서 평안함을 느끼게 된다.
05 문제의 중심에서 ‘줌아웃’하라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려면 문제의 중심에서 ‘줌아웃’할 필요가 있다. 생각과 거리를 둘수록 좁은 시야에서는 보지 못했던 새로운 관점이 생기고 문제를 전체적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자신이 처한 상황을 너무 확대해서 생각하다 보면 작은 부분에만 집중하게 된다. 또 생각이 계속 맴돌 때는 자기 자신과 거리를 두는 게 좋다. 정신적으로 자신에게서 완전히 벗어나 멀리서 자신을 바라본다는 것은 1인칭 시점에서 3인칭 시점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관찰자가 되어 자신을 바라보면 1인칭 관점에는 없었던 효과적인 거리가 생겨난다. 직장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가 계획한 대로 풀리지 않고 실패로 끝났다고 가정해보자. 1인칭이라면 화가 나면서 실수한 부분을 찾고 다른 사람이나 자신을 탓하며 열패감에 빠질 것이다. 이때 한 발 뒤로 물러나 중립적으로 그 사실을 바라본다면 다른 관점을 통해 새로운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06 정신적 유연성을 장착하자
어떤 문제에 직면했을 때 낙관적이든 비관적이든 한쪽으로 치우치는 태도는 나쁜 조건이 될 수 있다. 둘 다 판단할 수 있는 시야를 좁히고 유연한 사고를 하지 못하게 만들며 나아가 어떤 방식으로든 행동을 회피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불확실한 상황에서 확고한 판단을 하는 것은 긴장감을 줄이는 효과는 있지만 동기를 사라지게 할 수도 있다. 그보다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상황이 다양하게 진전될 가능성이 있다는 생각으로 정신적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좋은 일을 희망하면서 나쁜 일이 일어날 가능성도 함께 예상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볼 때 훨씬 유익하다. 왜냐하면 불확실성의 에너지는 우리의 뇌를 효율적으로 도와주기 때문이다. 우리 몸을 깨어 있는 상태로 만들어 주의를 집중해 문제 해결 모드로 전환하고 능동적으로 행동하게 한다.(여성조선발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