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과음·비만보다 해롭다”... 사망 위험 2배 높은 생활 습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4-08-07 16:40 조회242회 댓글0건본문
아프지 않고 오래 살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몸에 좋은 음식이나 규칙적인 운동만으로 해결되진 않는다. 지난 1938년부터 현재까지 85년 동안 진행 중인 하버드 대학 연구(성인 발달 탐구)에 따르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보내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가족·친구·동료 등 주변 사람들과의 좋은 관계(Strong relationship)였다. 80대에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한 노인들은 대부분 50대일 때 대인 관계 만족도가 높았던 사람들이었고, 배우자·친구 등 의지할 곳이 없는 80대는 기억력 감퇴 속도가 남들보다 빨랐다. 로버트 월딩어 하버드대 정신의학과 교수는 지난해 출간한 저서(The Good Life)에서 “원치 않게 사회와 단절되어 사는 외로운 사람들은 다른 이들과 연결되어 살고 있다고 느끼는 사람보다 건강이 빨리 나빠져서 단명(短命)하기 쉽다”면서 “말년에 의지할 곳(배우자·친구 등)이 있는 사람들이 더 건강하고 만족도가 높은 ‘좋은 인생’을 보낸다”고 말했다.
✅“외로우면 병들기 쉽다”
외로움과 고립은 술·담배보다 건강에 더 해롭다. 무라야마히로시(村山洋史) 도쿄도건강장수의료센터연구소 부부장은 “흡연, 과음, 비만, 운동부족 등과 같은 불건전한 생활 습관보다 고독·고립 상태가 사망 위험을 최대 1.9배나 높일 정도로 치명적”이라며 “타인과의 접촉이 줄면 건강 관련 유익한 정보나 재정적 지원도 얻기 힘들다”고 말했다. “만성적인 고독이 사망 리스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다양한 연구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독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신체 내에 염증을 일으켜서, 심혈관이나 뇌혈관 같은 혈관계 질환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도 나와 있습니다. 면역 체계가 약해지고 뇌 기능이 저하되고 수면 효율이 떨어져서 몸이 아프기 쉽죠. 당뇨병이나 암, 치매, 우울증, 자살 등의 원인이라는 연구도 있습니다.”
✅미혼女와 중년男의 고독감
그렇다면 과연 어떤 사람들이 고독·고립의 굴레에 빠지기 쉬울까. 조선일보 [왕개미연구소]가 이달 초 SM C&C 설문 조사 플랫폼 ‘틸리언프로’에 의뢰해 20~60대 성인 남녀 1513명의 고독·고립 지수를 조사해 봤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성인 10명 중 1명은 깊은 외로움과 고립 상태에 빠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에서 고립되어 있거나 고독하다고 느끼고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13%는 ‘항상 그렇다’고 답했다.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자 비중은 35% 정도였고, ‘가끔 그렇다’는 응답이 53%로 가장 많았다. 고독·고립은 노년층의 전유물처럼 여겨지곤 하지만, 이번 설문 조사에서는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성별·연령대별로 나눠 분석해 봤더니, ‘항상 혹은 가끔 고독·고립감을 느낀다’는 응답 비중(14%)이 가장 높았던 그룹은 20~30대 여성이었다. 남성은 40~50대 중년층의 고독감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50대 남성은 고독사 위험이 60~70대 노인보다 더 높은 집단이기도 하다. ‘항상 외롭다’고 말한 응답군의 배우자 유무와 관련해서는 미혼·비혼이 52.4%로 가장 높았다. 기혼자는 29% 정도였고, 그 다음은 이혼(12.7%), 사별(6.3%) 순이었다. 젊은 여성들과 중년 남성들이 고독감을 가장 많이 느끼는 현상은 비단 한국뿐만이 아니다. 지난 2021년 영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고독·고립대책담당실’을 신설한 일본은 매년 전국민 2만명을 대상으로 고독 실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조사 결과를 보면, 20~30대 여성과 50대 남성의 고독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온다. 고독·고립 연구가인 이시다미츠노리(石田光規) 와세다 대학 교수는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전에는 누구와 만나려면 특정 장소로 이동하고, 그 곳에서 사람과 만나 이야기하면서 연결 고리를 만들었다”면서 “하지만 지금은 누구나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고, 그래서 자신이 만나고 싶어하는 상대만 최우선 순위에 놓고 관계를 지속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즉 남들과 쉽게 가까워지기 힘든 성격의 사람들은 외로움 문제를 더 강하게 의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대중심리업계 관계자 A씨도 “윗세대는 가족·동료 등 어울리는 범위가 넓은 데 반해 요즘 젊은 세대는 혼자서, 온라인에서 보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기에 더 외로울 수 있다”면서 “또 젊은층은 앞으로 성취해야 할 것이 많고, 원하는 기준치가 높기 때문에 이미 많은 것을 이루고 현재의 삶에 수긍하는 윗세대와는 행복을 느끼는 가치 기준이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1인가구, 고령화 등 사회 변화에 따라 외로운 사람들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당장 영국이나 일본처럼 사회적 대처가 필요한 것은 아니겠지만, 그 전에 개인적인 노력과 관리가 필요하다. 사토카즈마(佐藤一磨) 타쿠쇼쿠대 정경학부 교수는 “새롭게 뭔가 시작하거나 그룹에 참여해서 관계를 시작하는 것이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다”면서 “이럴 때는 학창 시절 친구에게 오래 간만에 연락해 보는 것부터 시작해 보라”고 조언했다. 너무 어깨에 힘주지 않고 가벼운 마음으로 먼저 연락해 연결 관계를 만들어 보라는 것이다.(조선일보발췌)
✅“외로우면 병들기 쉽다”
외로움과 고립은 술·담배보다 건강에 더 해롭다. 무라야마히로시(村山洋史) 도쿄도건강장수의료센터연구소 부부장은 “흡연, 과음, 비만, 운동부족 등과 같은 불건전한 생활 습관보다 고독·고립 상태가 사망 위험을 최대 1.9배나 높일 정도로 치명적”이라며 “타인과의 접촉이 줄면 건강 관련 유익한 정보나 재정적 지원도 얻기 힘들다”고 말했다. “만성적인 고독이 사망 리스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다양한 연구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독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신체 내에 염증을 일으켜서, 심혈관이나 뇌혈관 같은 혈관계 질환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도 나와 있습니다. 면역 체계가 약해지고 뇌 기능이 저하되고 수면 효율이 떨어져서 몸이 아프기 쉽죠. 당뇨병이나 암, 치매, 우울증, 자살 등의 원인이라는 연구도 있습니다.”
✅미혼女와 중년男의 고독감
그렇다면 과연 어떤 사람들이 고독·고립의 굴레에 빠지기 쉬울까. 조선일보 [왕개미연구소]가 이달 초 SM C&C 설문 조사 플랫폼 ‘틸리언프로’에 의뢰해 20~60대 성인 남녀 1513명의 고독·고립 지수를 조사해 봤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성인 10명 중 1명은 깊은 외로움과 고립 상태에 빠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에서 고립되어 있거나 고독하다고 느끼고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13%는 ‘항상 그렇다’고 답했다. ‘전혀 그렇지 않다’는 응답자 비중은 35% 정도였고, ‘가끔 그렇다’는 응답이 53%로 가장 많았다. 고독·고립은 노년층의 전유물처럼 여겨지곤 하지만, 이번 설문 조사에서는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성별·연령대별로 나눠 분석해 봤더니, ‘항상 혹은 가끔 고독·고립감을 느낀다’는 응답 비중(14%)이 가장 높았던 그룹은 20~30대 여성이었다. 남성은 40~50대 중년층의 고독감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50대 남성은 고독사 위험이 60~70대 노인보다 더 높은 집단이기도 하다. ‘항상 외롭다’고 말한 응답군의 배우자 유무와 관련해서는 미혼·비혼이 52.4%로 가장 높았다. 기혼자는 29% 정도였고, 그 다음은 이혼(12.7%), 사별(6.3%) 순이었다. 젊은 여성들과 중년 남성들이 고독감을 가장 많이 느끼는 현상은 비단 한국뿐만이 아니다. 지난 2021년 영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고독·고립대책담당실’을 신설한 일본은 매년 전국민 2만명을 대상으로 고독 실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조사 결과를 보면, 20~30대 여성과 50대 남성의 고독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온다. 고독·고립 연구가인 이시다미츠노리(石田光規) 와세다 대학 교수는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전에는 누구와 만나려면 특정 장소로 이동하고, 그 곳에서 사람과 만나 이야기하면서 연결 고리를 만들었다”면서 “하지만 지금은 누구나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고, 그래서 자신이 만나고 싶어하는 상대만 최우선 순위에 놓고 관계를 지속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즉 남들과 쉽게 가까워지기 힘든 성격의 사람들은 외로움 문제를 더 강하게 의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대중심리업계 관계자 A씨도 “윗세대는 가족·동료 등 어울리는 범위가 넓은 데 반해 요즘 젊은 세대는 혼자서, 온라인에서 보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기에 더 외로울 수 있다”면서 “또 젊은층은 앞으로 성취해야 할 것이 많고, 원하는 기준치가 높기 때문에 이미 많은 것을 이루고 현재의 삶에 수긍하는 윗세대와는 행복을 느끼는 가치 기준이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1인가구, 고령화 등 사회 변화에 따라 외로운 사람들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당장 영국이나 일본처럼 사회적 대처가 필요한 것은 아니겠지만, 그 전에 개인적인 노력과 관리가 필요하다. 사토카즈마(佐藤一磨) 타쿠쇼쿠대 정경학부 교수는 “새롭게 뭔가 시작하거나 그룹에 참여해서 관계를 시작하는 것이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다”면서 “이럴 때는 학창 시절 친구에게 오래 간만에 연락해 보는 것부터 시작해 보라”고 조언했다. 너무 어깨에 힘주지 않고 가벼운 마음으로 먼저 연락해 연결 관계를 만들어 보라는 것이다.(조선일보발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